[전공의 단체, 환자단체 찾아가 사과]
페이지 정보

본문
김포떡케이크
[전공의 단체, 환자단체 찾아가 사과]"사태 장기화, 의료계도 자유롭지 않아""일부 의사 부적절 언행에도 사과"밝혀환연 "환자 생명 이용 안 한단 약속해야"안기종(왼쪽)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와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전공의 대표가 28일 환자단체 사무실을 찾아가 의정갈등으로 생긴 피해에 대해 사과했다. 전공의들의 대국민 사과는 이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지 1년 5개월 만에 처음 이뤄졌다.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환연)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을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 사태가 장기화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뿐 아니라 의료계에도 의료공백에 책임이 있음을 인정했다. 다만 전공의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공백이 생겼다고 거론하거나, 이와 관해 환자들이 입은 구체적 피해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않았다.의정갈등 국면에서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나왔던 망언들에 대한 사과도 있었다. 한 위원장은 또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고도 했다.환자단체는 최소한의 인력도 남기지 않고 의료 현장을 떠나는 식의 집단행동이 다시 있어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안기종 환연 대표는 "전공의는 의정갈등의 피해자 일 수 있겠지만, 의료공백에 있어서는 책임자 중 하나"라며 "다시는 환자의 생명을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최소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같은 분야의 의료 공백은 발생하지 않게 입법해달라고 국회에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 아무도 발의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양측은 이후 비공개로 진행한 대화를 포함해 이날 1시간 10분간 서로의 상황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환자단체는 "사과가 왜 이렇게 늦어졌는지"를 물었고, 대전협 측은 "지난해 정부가 전공의 들에게 폭압적으로 나오는 상황이라 누군가 이름을 걸고 나오기 어려웠고, 정부가 사과나 유감 표명[전공의 단체, 환자단체 찾아가 사과]"사태 장기화, 의료계도 자유롭지 않아""일부 의사 부적절 언행에도 사과"밝혀환연 "환자 생명 이용 안 한단 약속해야"안기종(왼쪽)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와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전공의 대표가 28일 환자단체 사무실을 찾아가 의정갈등으로 생긴 피해에 대해 사과했다. 전공의들의 대국민 사과는 이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지 1년 5개월 만에 처음 이뤄졌다.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환연)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을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 사태가 장기화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뿐 아니라 의료계에도 의료공백에 책임이 있음을 인정했다. 다만 전공의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공백이 생겼다고 거론하거나, 이와 관해 환자들이 입은 구체적 피해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않았다.의정갈등 국면에서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나왔던 망언들에 대한 사과도 있었다. 한 위원장은 또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고도 했다.환자단체는 최소한의 인력도 남기지 않고 의료 현장을 떠나는 식의 집단행동이 다시 있어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안기종 환연 대표는 "전공의는 의정갈등의 피해자 일 수 있겠지만, 의료공백에 있어서는 책임자 중 하나"라며 "다시는 환자의 생명을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수단으로 활용하지 않겠다는 약속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최소한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같은 분야의 의료 공백은 발생하지 않게 입법해달라고 국회에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 아무도 발의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양측은 이후 비공개로 진행한 대화를 포함해 이날 1시간 10분간 서로의 상황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환자단체는 "사과가 왜 이렇게 늦어졌는지"를 물었고, 대전협 측은 "지난해 정부가 전공의 들에게 폭압적으로 나오는 상황이라 누군가 이름을 걸고 나오기 어려웠고, 정부가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하지 않아서 복잡한 상황이었다"고
김포떡케이크
- 이전글구글찌라시 젠코더 채팅 어시스턴트 매우 집중 지속가능성 25.07.28
- 다음글구글찌라시 Tab 금지하는 개혁 비교 목록의 마지막 아 25.07.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