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정동영 통
페이지 정보

본문
렌탈내구제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한미연합훈련 조정 언급에 따라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진다. 한미연합훈련은 우리 단독이 아닌 미군과 함께 하는 정례적 훈련으로 훈련을 보름여 남겨 두고 일방적으로 조정이나 축소를 검토하는게 가능하냐는 것이다. 한미는 다음 달 중순께 하반기 연합 군사연습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을 실시하고, 이와 연계된 정부의 전시대비연습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한미는 한반도 전면전 상황을 가정한 방어적 성격의 전구급 연합 연습을 매년 두 차례 실시한다. 통상 3월에 ‘자유의 방패’(FS·프리덤실드) 연습을, 8월에는 정부의 을지연습과 병행한 UFS를 진행한다.FS나 UFS는 전쟁지휘부가 벙커에 모여 전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워게임을 진행하는 지휘소연습(CPX)이 핵심이다. 이를 계기로 한미 연합군은 다양한 야외기동훈련(FTX)을 실시한다.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이나 잠수함, 전략폭격기 등 미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전개돼 함께 훈련하기도 한다. 작년 UFS 당시에는 이와 연계된 한미연합 야외기동훈련이 48건이 이뤄졌다. 연합상륙훈련과 통합화력훈련, 한미 해병대의 연합훈련 ‘케이맵(KMEP)’ 등이 진행됐다. 특히 미 우주군도 참가해 GPS 교란 공격과 사이버 공격 등에 대응하는 절차도 숙달했다. 올해 상반기 FS 연습 때도 이와 연계한 야외기동훈련이 지·해·공 및 사이버·우주 등 전 영역에 걸쳐 16건이 진행됐다. 지난 해 8월 UFS와 함께 열린 한미 연합 ‘쌍룡훈련’ 참가차 부산작전기지 내에 정박한 미 강습상륙함 복서함에서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왼쪽 여덟 번째)과 한미 군 관계자들이 비행갑판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해군) 시뮬레이션 기반 지휘소연습의 경우 미리 한미 간 합의한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우리가 축소한다고 축소할 수 있는게 아니다. 지난 해 한미는 새로운 작전계획에 합의하고 올해 상반기 FS 때 일부 절차를 연습했다. 이번 UFS에선 FS 때 3단계 부터 시작했던 것과 달리 0단계부터 시작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0단계에서 5단계까지 전 절차를 숙달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합참은 지난 18일 이같은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지난 26일 합천군 가회면 가회체육공원에서 수해 피해 이재민과 수해 복구에 투입된 인력의 식사 제공을 위해 밥차를 운영하는 적십자사 밀양시협의회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헤럴드경제(산청)=황상욱 기자] 기록적인 폭우가 할퀴고 간 경남 지역은 연일 수해 복구 작업에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특히 산청, 합천 등은 농경지 유실과 주택 침수 피해가 막대한 상황이다. 경남도와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일주일 이상 이어지고 있지만, 광범위한 피해 면적과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복구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피해 농민들과 주민들의 속은 새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사상 최대 피해…복구에 인력 장비 총동원=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경남 지역에는 평균 280.8mm의 비가 내렸다. 특히 산청군 시천면에는 무려 798mm, 합천군 회양면에는 712.5mm, 하동군 옥종면에는 661mm의 물 폭탄이 쏟아졌다.이번 폭우로 인한 인명 피해는 사망 13명, 실종 1명, 중상 5명 등 총 19명에 달한다. 공공시설은 3159건에 달했으며, 피해액은 잠정적으로 6112억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도로 329곳, 하천 335곳, 산사태 396곳 등 기반 시설 피해가 컸다. 주택은 전파 122채, 반파 89채, 침수 971채 등 총 1184채가 파손됐고, 가축 18만7172마리가 폐사했다. 농경지는 축구장 수백개에 달하는 4547㏊(6150건)가 침수되거나 유실되어 농민들에게 깊은 상실감을 안겼다. 8039명이 대피했으며, 아직도 288가구 463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경남도는 호우 특보 해제 후 20일 오전 1시부터 ‘수습·복구’ 단계로 전환해 피해지역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박완수 도지사를 비롯한 도청 공무원 70명이 29일 오전 산청군 신안면 하정마을 하우스 농가에 투입돼 복구 작업을 진행하는 등 피해 지역에는 공무원들을 비롯해 군부대, 경찰, 소방 등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인력과 장비가 총동원돼 복구 작업에 매달리고 있다.현재까지 공무원과 주민 등 1만
렌탈내구제
- 이전글2D vs 3D 25.07.29
- 다음글구글찌라시 소유주인 내용과 정반대 머신러닝 전문가 줌 25.07.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