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중국 AI 경제 딥시크 Deepseek, 엔비디아 TSMC 주식 폭락 미국 흔들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Cindy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회   작성일Date 25-05-01 07:03

    본문

    안녕하세요​설 딥시크 연휴 딥시크 이후 AI인프라 종목들의 주가는 큰 하락을 하였고 최근 회복 중이긴 하나 여전히 대략 10% 하락한 상태입니다.​딥시크 사태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의견을 남겼었고, 빅테크들의 실적발표에서 케펙스 투자를 시장 기대치보다 크게 발표하면서 AI 수요에 대한 의심이 다시 사라지고 있는 중이라고 봅니다안녕하세요 저는 설 연휴를 맞아 여행 중인데 빅 이벤트?가 터졌네요 중국의 딥시크가 훨씬 적은(그들의 말...​AI인프라와 관련된 기업들의 컨콜을 엿보면 더더욱 마음이 편안해집니다.​TSMC는 CoWoS 캐파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25년 말 수치가 24년의 2배가 딥시크 넘습니다​TSMC CoWos 캐파가 늘어나면 엔비디아의 GPU도 많이 팔릴 수 있고 SK하이닉스 HBM도 많이 팔릴테고, 데이터센터의 전기사용량도 늘어나겠죠​텔레그램 올바른님 채널TSMC CoWoS 5개년 계획TSMC CoWoS 캐파 (월)- 24년 말 : 35,000개 (CoWoS-S 20K / CoWoS-L 10~15K)- 25년 말 : 75,000~80,000개 (S: 20K / L: 45K~ / R: 10K)- 26년 말 : 95,000개- 27년 말 : 135,000개- 28년 말 : 150,000개*TSMC는 연중에도 수요가 크게 초과할 경우 CoWoS 캐파를 상향해온 바 있기에, 25~28년 계획은 변할 수 딥시크 있음​​최근 주요 빅테크의 4분기 실적발표에서 클라우드 부문의 매출이 둔화되면서 주가가 급락을 한 경우들이 있는데요​늘 수치보다는 디테일이 중요한데 하나증권 박승진 애널리스트님이 정리해주신 자료를 보면,​클라우드 컴퓨팅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말을 합니다.​즉, 내가 공급을 더 할 수 있었으면 우리의 매출은 더 높았을 것이다란 말이죠.​바로 이것이 DeppSeek와 무관하게 빅테크의 CAPEX 투자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선 것 아닌가 싶습니다.​텔레그램 박승진 애널리스트님 채널»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4분기 클라우드 부문 매출 둔화- 구글: 119.6억달러 (예상치: 121.9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 딥시크 255.4억달러 (예상치: 258.3억달러)- 아마존: 287.9억달러 (예상치: 288.7억달러)​​그리고 아래는 datacenterdynamics의 최신 뉴스 모음인데요​AI인프라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주기적으로 살피는 곳입니다.​예전에도 관련 글을 한 번 올렸는데 여전히 데이터센터 투자는 지속되고 있으며 규모나 속도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이 보이지 않습니다​또한 하나의 축인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확보를 위한 기사도 자주 보이고요​특히 최근에는 빅테크의 신재생에너지 PPA 계약이 자주 눈에 띕니다​트럼프가 당선되면서 탈탄소가 멀어지는 듯 해보이긴 하지만 빅테크는 여전히 데이터센터의 무탄소 운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진행 중이고, 이를 위해 PPA 딥시크 계약을 선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설 연휴 전까지 전고점을 깨러가나 싶다가 딥시크 충격에 무너졌었죠(이번엔 전고점 깨주나 했는데~ㅠㅠ)​개인적으로 SK하이닉스의 대체투자로 SK스퀘어에 투자를 하고 있으나 이번 하락에서 SK하이닉스도 소량 매수를 해보았습니다.(당연히 SK스퀘어, 전력기기도 하락기에 단타물량 매수)​전 AI에 대한 투자가 끝이 나려면 AGI가 빠르게 완성이 되거나 AGI가 알트먼이나 젠슨황 등이 말하는 시기보다 2배 이상 늦어진다는 것이 밝혀질 때라고 생각합니다(전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을수도)​그때까지는 단기 폭락은 매수 기회로 삼고 계속해서 투자를 해나갈 생각입니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분야 딥시크 작년 매출 상위 10개 업체 중 가장 높은 매출 성장(86%)을 하였다죠​그리고 25년 HBM 매출이 66.3%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HBM의 압도적 1위 기업인 SK하이닉스가 가장 큰 수혜를 받겠죠?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1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가트너(Gartner)는 글로벌 반도체 매출 예비조사 결과 작년 반도체 매출이 6260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8.1% 늘었다고 5일 밝혔다.올해 반도체 매출은 지난해 보다 12.6% 증가한 70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조지 브로클허스트(George Brocklehurst그리고 작년 한 해 IT기기 판매량 부진으로 딥시크 흔들렸던 레거시 메모리도 올해는 최소 바닥에서 조금은 뛰어오르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며칠 전 출시된 갤럭시S25의 경우도 AI기능으로 인해 사전예약 최대를 기록하고 약 9년만에 갤럭시S 시리즈 최대 판매가 기대된다고 하죠​노트북도 AI PC가 점점 대세가 되어서 올해는 60% 비중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메모리 탑재량도 늘어날 확률이 높고,​갤럭시S 시리즈처럼 AI 기능이 잘 구현된 노트북이 등장한다면 판매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겠죠[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노트북이 올해 대세로 자리잡으며, PC 수요 회복을 이끌 전망이다. 딥시크 7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된 노트북 2억5300만대 중 27%는 생성형 AI를 노트북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일명 'AI PC'로 알려졌다.AI PC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출시가 본격화됐고,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딥시크 이후 시장의 분위기가 바뀌었다는 말도 많고 다른 업종으로 수급이 쏠리는 듯 하지만​경기 불확실성이 크고 트럼프가 이 나라, 저 나라와 관세로 다투고 있는 상황에서 결국은 실적이 좋은 기업들이 그나마 버티고 상승할 동력이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합니다.​​​​PS. 네이버 인플루언서가 되었습니다. 팬하기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창작자 중심의 새로운 딥시크 검색​​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