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AI 경제 딥시크 Deepseek, 엔비디아 TSMC 주식 폭락 미국 흔들까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설 딥시크 연휴 딥시크 이후 AI인프라 종목들의 주가는 큰 하락을 하였고 최근 회복 중이긴 하나 여전히 대략 10% 하락한 상태입니다.딥시크 사태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의견을 남겼었고, 빅테크들의 실적발표에서 케펙스 투자를 시장 기대치보다 크게 발표하면서 AI 수요에 대한 의심이 다시 사라지고 있는 중이라고 봅니다안녕하세요 저는 설 연휴를 맞아 여행 중인데 빅 이벤트?가 터졌네요 중국의 딥시크가 훨씬 적은(그들의 말...AI인프라와 관련된 기업들의 컨콜을 엿보면 더더욱 마음이 편안해집니다.TSMC는 CoWoS 캐파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는데 25년 말 수치가 24년의 2배가 딥시크 넘습니다TSMC CoWos 캐파가 늘어나면 엔비디아의 GPU도 많이 팔릴 수 있고 SK하이닉스 HBM도 많이 팔릴테고, 데이터센터의 전기사용량도 늘어나겠죠텔레그램 올바른님 채널TSMC CoWoS 5개년 계획TSMC CoWoS 캐파 (월)- 24년 말 : 35,000개 (CoWoS-S 20K / CoWoS-L 10~15K)- 25년 말 : 75,000~80,000개 (S: 20K / L: 45K~ / R: 10K)- 26년 말 : 95,000개- 27년 말 : 135,000개- 28년 말 : 150,000개*TSMC는 연중에도 수요가 크게 초과할 경우 CoWoS 캐파를 상향해온 바 있기에, 25~28년 계획은 변할 수 딥시크 있음최근 주요 빅테크의 4분기 실적발표에서 클라우드 부문의 매출이 둔화되면서 주가가 급락을 한 경우들이 있는데요늘 수치보다는 디테일이 중요한데 하나증권 박승진 애널리스트님이 정리해주신 자료를 보면,클라우드 컴퓨팅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말을 합니다.즉, 내가 공급을 더 할 수 있었으면 우리의 매출은 더 높았을 것이다란 말이죠.바로 이것이 DeppSeek와 무관하게 빅테크의 CAPEX 투자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선 것 아닌가 싶습니다.텔레그램 박승진 애널리스트님 채널»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4분기 클라우드 부문 매출 둔화- 구글: 119.6억달러 (예상치: 121.9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 딥시크 255.4억달러 (예상치: 258.3억달러)- 아마존: 287.9억달러 (예상치: 288.7억달러)그리고 아래는 datacenterdynamics의 최신 뉴스 모음인데요AI인프라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주기적으로 살피는 곳입니다.예전에도 관련 글을 한 번 올렸는데 여전히 데이터센터 투자는 지속되고 있으며 규모나 속도 측면에서 떨어지는 것이 보이지 않습니다또한 하나의 축인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확보를 위한 기사도 자주 보이고요특히 최근에는 빅테크의 신재생에너지 PPA 계약이 자주 눈에 띕니다트럼프가 당선되면서 탈탄소가 멀어지는 듯 해보이긴 하지만 빅테크는 여전히 데이터센터의 무탄소 운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진행 중이고, 이를 위해 PPA 딥시크 계약을 선호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설 연휴 전까지 전고점을 깨러가나 싶다가 딥시크 충격에 무너졌었죠(이번엔 전고점 깨주나 했는데~ㅠㅠ)개인적으로 SK하이닉스의 대체투자로 SK스퀘어에 투자를 하고 있으나 이번 하락에서 SK하이닉스도 소량 매수를 해보았습니다.(당연히 SK스퀘어, 전력기기도 하락기에 단타물량 매수)전 AI에 대한 투자가 끝이 나려면 AGI가 빠르게 완성이 되거나 AGI가 알트먼이나 젠슨황 등이 말하는 시기보다 2배 이상 늦어진다는 것이 밝혀질 때라고 생각합니다(전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을수도)그때까지는 단기 폭락은 매수 기회로 삼고 계속해서 투자를 해나갈 생각입니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분야 딥시크 작년 매출 상위 10개 업체 중 가장 높은 매출 성장(86%)을 하였다죠그리고 25년 HBM 매출이 66.3%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HBM의 압도적 1위 기업인 SK하이닉스가 가장 큰 수혜를 받겠죠?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1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가트너(Gartner)는 글로벌 반도체 매출 예비조사 결과 작년 반도체 매출이 6260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18.1% 늘었다고 5일 밝혔다.올해 반도체 매출은 지난해 보다 12.6% 증가한 70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조지 브로클허스트(George Brocklehurst그리고 작년 한 해 IT기기 판매량 부진으로 딥시크 흔들렸던 레거시 메모리도 올해는 최소 바닥에서 조금은 뛰어오르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며칠 전 출시된 갤럭시S25의 경우도 AI기능으로 인해 사전예약 최대를 기록하고 약 9년만에 갤럭시S 시리즈 최대 판매가 기대된다고 하죠노트북도 AI PC가 점점 대세가 되어서 올해는 60% 비중까지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메모리 탑재량도 늘어날 확률이 높고,갤럭시S 시리즈처럼 AI 기능이 잘 구현된 노트북이 등장한다면 판매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겠죠[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노트북이 올해 대세로 자리잡으며, PC 수요 회복을 이끌 전망이다. 딥시크 7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된 노트북 2억5300만대 중 27%는 생성형 AI를 노트북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일명 'AI PC'로 알려졌다.AI PC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출시가 본격화됐고,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딥시크 이후 시장의 분위기가 바뀌었다는 말도 많고 다른 업종으로 수급이 쏠리는 듯 하지만경기 불확실성이 크고 트럼프가 이 나라, 저 나라와 관세로 다투고 있는 상황에서 결국은 실적이 좋은 기업들이 그나마 버티고 상승할 동력이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합니다.PS. 네이버 인플루언서가 되었습니다. 팬하기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창작자 중심의 새로운 딥시크 검색
- 이전글챗GPT 무료 한도 제한? 유료 차이와 챗지피티 사용법, 할인 정보까지! 25.05.01
- 다음글휴대폰 성지 시세표 확인 후기 25.05.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