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전남 무안공항에서 김유진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12·29 여객기 참사 엔진 정밀조사 결과 현장 브리핑이 취소된 후 대한 입장을 말하고 있다. 민찬기 기자 "절대 안 됩니다. 인정할 수 없습니다"19일 오후 4시 10분 무안국제공항 관리동 3층 대 회의실. 현장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에서 예고한 제주항공 7C2216편 폭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엔진 정밀 조사 결과' 브리핑을 취소해 달라는 유가족들의 절규가 울려 퍼졌다.이날은 국토부 및 사조위 측이 제주항공 사고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는 사고 항공기 엔진에 대한 조사 결과 언론 브리핑이 예고돼 있었다.당시 현장엔 전국에서 모인 기자 등 언론사 관계자가 대기하고 있었다. 당초 오후 3시에 시작될 예정이었던 이날 언론브리핑은 시간이 점차 밀리더니 한 시간이 지난 4시에도 진행되지 않았다. 19일 오후 3시 무안국제공항 관리동 3층 대 회의실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던 제주항공 7C2216편 폭발 사고 '엔진 정밀 조사 결과' 언론 브리핑장에 유가족들이 들어와 항의를 하고 있다. 민찬기 기자 앞서 사조위 측이 유가족들과 사전 설명 차원에서 진행한 총회에서 합의점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브리핑 시간이 늦어진 것이다.현장에 모여있던 기자들 사이에서도 사조위 측과 유가족들 간 마찰이 있는 것 아니냐는 말이 돌기 시작했다. 일부에선 '브리핑 파행' 가능성까지 제기되던 상황에서 국토부 관계자가 '브리핑을 곧 시작하겠다'고 공지했다.그러자 갑자기 유가족들이 비명에 가까운 목소리와 함께 "이날 브리핑은 절대 안 된다"며 브리핑 취소를 요청했다. "총회 과정에서 전혀 합의가 안 됐는데 일방적인 사조위의 조사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유가족들은 사조위가 근거 자료 없이 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에 대해 '2차 가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 유가족들은 눈물과 함께 "179명 살려내"라 [독자제공]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한 번 사면 10년 이상 걱정 없이 쓴다면서.”최근 거실 등이 깜빡거려 교체하려 한 A씨. LED등을 확인하는 순간 짜증부터 났다. 그는 “원래 더 저렴한 조명을 쓰려다가, 한번 쓰면 10년 이상 쓸 수 있다는 말에 LED 거실등으로 바꿨다”며 “형광등도 아니고 어떻게 교체해야 할 지 막막하더라”고 토로했다.수소문한 끝에 결국 전문 기사 출장까지 불렀고, 형광등처럼 일부 부품만 교체하는 게 아닌 통째로 교체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는 “3년쯤 썼는데, 출장비에 새로 구입하는 LED 거실등 비용까지 더하니 하면 오히려 큰 손해 같았다”며 “차라리 형광등 달고 싶다고 하니 이제 곧 생산 금지가 돼 싫어도 LED를 써야 한다더라”고 털어놨다.더 분통 터진 건 고장 난 LED 거실등을 버릴 때. 분리배출이 불가해 쓰레기 봉투로 버려야 하는데, 20리터로는 어림도 없었다. 결국 초대형 쓰레기 봉투까지 추가 구매했다고.A씨는 “플라스틱 빨대 하나도 분리 배출 신경 쓰는 시대에, 멀쩡한 금속 등까지 통째로 다 버리라니, LED가 진짜 친환경 맞느냐”고 토로했다. [독자 제공] LED 조명이 대세다. LED 조명은 금이나 구리 등 유가금속이 있는 귀한 재활용 품목. 이 때문에 정부도 형광등 대신 LED 조명 사용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심지어 2027년부턴 기존 형광등 신규 제작 자체가 금지된다. 이제 LED 조명은 선택이 아닌 의무다.문제는 이렇게 귀하고 재활용이 중요한 LED 조명이라면서, 재활용 체계는 터무니없이 미비하다는 데에 있다. 가정에서 대부분 쓰고 있는 거실 LED 조명 등은 아예 재활용 품목에서 제외돼 있다. 그냥 통째로 다 버려진다.LED 조명 사용이 급증하면서 품질 불량의 제품도 넘쳐난다. 그러다보니 수명이 형광등과 다름 없는 제품까지 난립하는 실정. 금방 고장하는 제품은 넘쳐나고, 재활용은 막혀 있다. 결국, 넘쳐나는 건 고스란히 버려지는 대형 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