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22년 8월 마케팅/경제/시사 주요이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HELL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회   작성일Date 25-04-29 22:37

    본문


    시사가 후불상조 궁금해욧?! (진지함)


    1. 생명보험사: "상조야, 나 왔어 문열어줘..."



    생보사 7조원 규모 상조시장 '노크'
    새 먹거리 찾기에 나선 생명보험업계가 상조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 그동안 생보사의 상조·장례 진출 시도를 막아온 금융당국이 규제 완화에 시동을 걸면서다.30일 보험업계에
    news.mtn.co.kr


    - 생명보험사가 상조시장에 진출하려고 함
    - 왜?
    &nbsp1) 상조 상품이 생명보험 상품과 유사성이 있고
    &nbsp2) 재무구조가 취약한 대다수의 중소상조업체를 견제하며
    &nbsp3)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생보사는 탄탄하다는 이유

    - 금융위도 긍정적인 분위기.'자회사 투자 제한 완화'가 핵심.
    &nbsp(자회사 설립 기준 유권해석에 상조 서비스가 포함되면 상조회사를 자회사로 둘 수 있는 길이 열림)

    - 시장 포화로 성장성이 한계에 달한 생보사에 상조시장은 블루오션1) 저출산·고령화에 증시 침체가 겹치자 생보사의 주력상품인 종신, 변액보험 매출은 급감2)상조시장규모는매년성장


    2. 24GB '5G 중간요금제' SKT 시작!



    24GB '5G 중간요금제' 포문 연 SKT…고민 깊어지는 KT·LGU+
    24GB '5G 중간요금제' 포문 연 SKT…고민 깊어지는 KT·LGU+, 조아라 기자, 산업



    - 이통사 업셀링 어려워져…KT와 LG유플러스도 고민이 깊다.
    - 왜? 기존 무제한 데이터 가입자들이 후불상조 중간요금제로 이동하면 가입자당평균매출(ARPU) 등 수익성 떨어짐- 가입자 유출방지를 위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


    3. 엄마!!! 나 학교 다녀올게~ (만 5세. 아장아장)



    만5세 입학, 2007년 국책연구소 설문서 성인 10명중 7명 '반대'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정부가 초등학교 '만 5세' 입학에 대한 대국민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합의를 도출하겠다고 밝혔지만 2000년대 ...



    - 정부에서 만 5세 입학 추진 중, 2007년 국책연구소 설문서 성인 10명중 7명 '반대' &nbsp(유치원 교육 확대가 중요하지 초등 조기입학이 문제가 아냐!)- 교육과정이 몇 년간 두 연령대(5∼6세)에 동시에 적용되면 수업은 물론 고입·대입에서도 혼란...재수생이늘고청년실업률이높아져사회적문제가될가능성도있다.


    4. 사람이..........없네?!



    처음으로 인구가 줄었다…72년 만에 '꺾인' 그래프
    뉴스룸 연속 기획 인구 붕괴와 이민, 오늘(28일)도 이어갑니다. 5천173만 명,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입니다. 국내에 사는 외국인도..
    news.jtbc.co.kr


    - 5천 173만 명.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외국인도 포함)
    - 재작년보다 9만 명 넘게 줄었으며, 인구가 준 건 72년 만에 처음 있는 일
    &nbsp1) 저출산으로 증가 속도가 줄고
    &nbsp2) 코로나19 대유행 후불상조 속에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아지면서 인구 자연감소

    -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05년 대비 2배로 불어난 870만 7000명
    &nbsp(유소년 100명이 부양해야 할 고령인구: 48.6명에서 143명 증가)- 1인가구는처음700만가구를돌파하면서(717만가구)일반 가구의 3분의 1을 차지


    5. TV가..............안팔리네?!



    '글로벌 투톱' 삼성·LG전자도 못 피한 TV 불황…하반기 전망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TV 시장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에 따른 경기 침체로 '수요 절벽'에 직면했다. 하반기 계절적 성수기와 스포츠 이벤트 등 긍정
    n.news.naver.com


    - 삼성과 LG는 세계 TV시장의 강자 (세계 TV 판매의 절반을 차지)
    - TV 판매 실적이 줄었다는 건 세계 TV 시장의 수요 자체가 줄어들었다는 뜻

    - 인플레이션과 전쟁에 따른 물류비와 원자재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
    - TV 시장이 작아질 수 있음 (그렇다고 글씨체까지 작아질 필요가...)&nbsp1)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새로운 기기가 나오면서 TV의 입지가 줄어든다는 예상&nbsp2)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머물던 사람들이 TV를 크고 좋은 걸로 바꿔서, 한동안 교체 주기가 오지 않을 거라는 예상


    6. 대형마트! 일요일도 후불상조 갈 수 있을까?



    총리실, 대형마트 규제 완화 시동? 의무휴업 완화 의제로
    국무조정실이 오는 4일 첫 규제심판회의에서 대형마트 영업규제 문제를 안건으로 논의한다고 밝혔다. 국무조정실은 2일 “1차 ...



    - 대형마트 영업규제: 2012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시행
    - 언제? 매달 두 차례. 영업시간도 자정부터 오전 10시까지 제한됨.
    - 규제심판제도를 통해 검토 중.
    &nbsp(규제심판제도: 윤석열 정부에서 신설한 제도로 민간전문가와 현장 활동가 등 100여명으로 꾸려진 규제심판부)


    7. 머지... 돈 있지?



    머지포인트 사태 1년…“여전히 환불 안갯속&rdquo피해자들 절규
    오는 11일이면 대규모 환불 대란을 일으킨 머지포인트 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된다. 1년이 지난 지금까지 환불을 받지 못한 대다수의 피해자들은 여전히 고통을 받고 있는 반면 머지포인트 측은
    n.news.naver.com


    - 작년 8월 이후 환불 등 구제 소식 없음 (대표는 재판중)
    - 현재 머지포인트를 머지코인으로 전환한 고객 대상으로 8,000 머지코인을 추가로 지급하는 이벤트 진행
    - 고객은 “각종 이벤트 등을 통해 물건만 판매하려고 혈안이 된 것 같다”, “환불 등 피해자 구제보다는 후불상조 돈벌이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 괘씸하다&rdquo라는 반응


    8. '슈링크플레이션!'&nbsp줄어버린 내 단골식당 반찬 돌려내....



    사라진 연어회, 묽어진 커피…단골식당 묘하게 부실해졌네
    식재료값 폭등에 고육책 고깃집 상추·횟집 연어 양 줄여 채소 리필서비스 유료로 전환 더 저렴한 재료로 레시피 바꿔 외식 잦은 직장인은 한숨만





    - 가격을 올리지 않는 대신 양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inflation)'
    : 각종 식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비싼 재료를 적게 쓰거나 반찬 가짓수를 줄이는 상황- 전문가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소비자 평가가 중요한 시대이기에&nbsp가격 상승과 이유를 고지하는 방식이 나을 수 있다"고 조언


    9. 체크카드 안써요, 간편결제 써요



    존재감 잃어가는 '체크카드'…MZ세대 중심 '간편결제' 대세로
    통장계좌 개설 때 은행 창구에서 손쉽게 발급하던 체크카드가 소비자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매년 100만장 이상 체크카드가 자취를 감췄다. 비대면 금융 확대와 더불어 MZ세대 중심으로 네이버·
    n.news.naver.com


    -&nbspMZ세대가 체크카드 &rarr간편결제, 후불결제 로 이동하여 체크카드 발급량 하락
    -&nbsp네이버페이 후불결제 서비스의 경우 MZ세대인 2030세대가 전체에서 75%를 차지
    - 전통 금융사도 '후불결제'(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확대(돈이나 카드 후불상조 없이 물건을 구입하고 이후에 결제하는 서비스. 소비 욕구는 높지만 돈이 부족한 MZ세대에서 확대)


    10. 카드 순위 4위 롯데카드 팔아요~



    롯데카드 공개매각 본격화…금융지주·토스·PEF 등 티저 수령
    이 기사는 08월 05일 15:56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3조원 몸값의 하반기 '대어'인 롯데카드가 공개매각 절차로 전환해 새 주인을 찾고 있다. 카드업 점유율 상승을 꾀하는 금융지주들
    n.news.naver.com


    한국경제 '롯데카드 공개매각 본격화…금융지주·토스·PEF 등 티저 수령'


    - 롯데그룹 &rarr금산분리 →&nbspMBK파트너스(59.8%) + 우리은행(20%) →&nbspMBK파트너스 지분이 시장에 나옴
    - 우리금융지주는 '우선검토권' 을 가진 유리한 상황
    - 카드업계의 판도가 달라질 수도 있음. 우리금융지주(우리카드) 혹은 토스와 같은 혁신금융사 예상
    &nbsp(다만 우리금융지주는 '증권사'를 인수하고 싶어함. 다른 국민, 신한, 하나은행에는 있는데 없으니...)


    똑똑하게 마케팅 알아보기!


    1. 페이스북의 시대 이대로 사라지나...



    뉴닉 NEWNEEK
    우리가 시간이 없지, 세상이 안 궁금하냐!
    newneek.co


    - 메타 주가가 26%나 한꺼번에 떨어졌었음
    - 왜? 작년부터 애플은 ‘허용&rsquo버튼을 눌러야만 앱이 개인정보를 가져갈 수 있게 정책을 바꿔버렸고...
    - 메타는 그동안 광고로 총매출의 90%를 벌었을 뿐이고....개인정보 없으면 광고에는 후불상조 치명타....
    &nbsp(지난해 4분기, 페이스북 쓰는 사람이 약 50만 명 줄음. 페이스북 18년 역사상 사용자가 줄어든 건 처음)


    2. 유튜브 시대는 어찌되오리까



    유튜브 광고 성장률 ‘역대 최저’…틱톡·인스타 등으로 이탈↑
    코로나19 팬데믹의 가장 큰 수혜자 중 하나로 꼽혔던 유튜브의 성장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1분기에 이어 2분기의 광고 수익도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데다, 2분기 광고 수익 성장률은 역대 최저
    n.news.naver.com


    -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의 광고 수익도 시장 전망치를 밑돌고, 2분기 광고 수익 성장률은 역대 최저임
    &nbsp(미국 증권가에서는 2분기에 7% 성장을 기대했는데 4.8%밖에 성장하지 못함)
    - 조사 결과 40%에 가까운 젊은 소비자 층이 자료 검색에 틱톡이나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3. 웹툰이 OTT산닷!



    [단독]'웹툰 유니콘' 리디, 위기의 OTT '왓챠' 인수 추진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으로 발돋움한 콘텐츠 플랫폼 리디(RIDI)가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 ‘왓챠&rsquo인수 후보로 부상했다. 웨이브와 쿠팡 플레이, 티빙 등 OTT 경쟁



    - 콘텐츠 플랫폼 '리디'가 '왓챠' 인수 검토중 - 다만... 왓챠는 후불상조 그간 쿠팡과 CJ ENM 등으로부터 인수 제안을 받았지만, 기대에 못 미치는 밸류에이션과 ‘왓챠의 비전’에 맞는 파트너가 없다는 이유로 고사해온 상황으로 더 지켜봐야할듯.


    4. 네이버 vs 카카오



    네이버-카카오 2분기 최대 매출
    네이버와 카카오가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메타, 알파벳, 트위터 등 글로벌 빅테크가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따른 침체 우려 등으로 주춤한 것과
    n.news.naver.com


    - 네이버, 카카오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
    - 본업인 플랫폼보다는 콘텐츠라는 ‘부업’이 카파른 상승세 (광고 시장은 침체됨)&nbsp: 네이버 커머스는 19.7%, 핀테크는 27.1% 성장. 웹툰, 웹소설 매출은 지난해보다 113.8% 성장 (유료 결제자 증가중)
    - 개발자를 중심으로 늘어난 인건비, 마케팅비로 영업이익률 떨어짐


    5. 라이브 커머스는 30대가 주요 타겟
    출처: DMC리포트


    - 라이브커머스를 이용한 경험이 30대 여상은 절반을 차지&nbsp(49.1%)
    - 향후 이용할 계획이라고 답한 30대 남성(50.7%)에 집중할 필요 있음
    - 이커머스 관계자들은 식음료, 의류 등 기존 판매 품목에 더불어 보다 다양한 품목을 라이브커머스로 판매될 것으로 후불상조 기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