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현충일인 6일 충북 청주의 한 도로변에 태극기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fht43os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회   작성일Date 25-06-06 19:34

    본문

    현충일인 6일 충북 청주의 한 도로변에 태극기가 담긴 쓰레기 종량제 봉투 더미가 발견됐다.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청주시 청원구 내덕동 청주농고 인근에서 주민 A씨는 이 같은 현장을 발견하고 지자체 민원 접수처와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현장 확인을 거쳐 투기자를 찾는 등 정확한 경위를 파악 중이다. 쓰레기봉투에 담겨 버려진 태극기. 연합뉴스 제공 A씨는 "누가 무슨 이유로 그랬는지 알 수 없지만 현충일인데 많은 태극기가 여러 개의 쓰레기봉투에 담겨 마구 버려져 황당해 신고했다"고 말했다.태극기는 '국기법'에 따라 관리해야 하며, 훼손된 때에는 이를 방치하거나 다른 용도에 사용하지 말고 소각 등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해야 한다.일반 가정에서는 화재 등 안전사고 우려가 있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비치된 태극기 수거함에 넣으면 된다.훼손된 태극기를 그냥 버리는 행위는 국기법 위반에 해당한다. 고의성이 인정될 경우 형법상 국기모독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저,저,저~ 백여시!” “여우같은 놈!” 여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많은 설화, 동화, 전설 속에 등장하는 동물입니다. 여우는 대체로 부정적으로 그려집니다. 교활하고, 영리하고, 속임수와 권모술수, 변신의 대가입니다.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가는 조롱과 풍자의 대상이 되기도 하죠. 동양에서는 초자연적 존재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천년을 살면 9개의 꼬리를 가지는 여우인 ‘구미호(九尾狐)’ 설화는 한중일에 모두 공통으로 나타나는데요. 구미호는 주로 여자로 변신해 사람을 유혹해 간을 빼먹는 악령으로 묘사됩니다. 일부 설화에서는 구미호가 인간이 되고자 선행을 쌓는 모습도 있지요. 이렇듯 여우는 부정적인 묘사도 있지만, 때론 인간을 돕기도 하는 양면적인 존재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일본 민담에서는 여우 아내 설화(狐の嫁入り)처럼 정을 나누는 대상으로도 나타나지요. 서양에서도 여우는 꾀가 많은 동물로 그려집니다. 이솝우화의 ‘여우와 포도’에서 여우는 포도를 따먹으려 수없이 점프하지만 결국 못따먹자 “저건 신포도 일꺼야”라고 자기 위로를 합니다. 라퐁텐 우화의 ‘여우와 황새’에서 여우는 집에 찾아 온 황새에게 접시에 담긴 스프를 주었다가, 황새가 주둥이가 긴 병에 담긴 음식을 주어서 복수를 당한다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여우는 ‘전설의 고향’ 등의 TV드라마나 영화, 소설 등에서 부정적인 동물로 그려져 왔습니다. 그리고 한반도에서는 토종 여우는 1급 멸종 위기 야생동물이기 때문에 실물로 여우를 본 적이 없었습니다. 1960년대까지 한반도 전역에 살고 있던 그 많던 여우는 왜 사라졌을까요?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에 있는 ‘소백산 여우생태관찰원’에서 처음으로 여우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2016년 11월 5일 개관한 여우생태관찰원은 우리나라 토종인 ‘붉은여우’를 복원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는 시설인데요. ‘붉은 여우’의 줄임말은 ‘불여우’입니다. 경상도 사투리로는 ‘불여시’라고 하죠. ‘불여시같은 XX’라고 할 때 바로 그 붉은여우입니다. 그런데 이 곳에서 만난 여우는 착하고 귀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