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당근마켓 피해 사례 [당근마켓][헤럴드경제=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7회   작성일Date 25-06-15 12:35

    본문

    당근마켓 피해 사례 [당근마켓][헤럴드경제=김보영 기자]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해 이른바 ‘문고리 거래’를 하려다 금전 피해를 보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15일 인천 미추홀경찰서에 따르면 인천에 사는 20대 A씨는 지난 5일 “당근마켓으로 거래하다가 495만원 상당의 사기 피해를 봤다”는 내용의 진정서를 경찰에 접수했다.A씨는 당근마켓에서 알게 된 B씨로부터 아이폰16 프로맥스를 구매하기로 하고 문고리 거래를 하러 약속 장소에 갔다. A씨는 “돈을 입금하면 아파트 동과 호수를 알려주고 문고리에 제품을 걸어두겠다”는 B씨 말을 듣고 그가 알려준 계좌로 165만원을 입금했다.중고 거래 치고는 상당히 큰 금액이었지만, B씨 프로필에는 ‘재거래 희망률 100%’라는 기록과 지역 인증 내역 등이 나와있어 별다른 의심은 하지 않았다. B씨는 자신의 휴대전화로 A씨와 직접 약속 장소와 시간을 잡았고 쇼핑백 안에 제품을 넣어 문고리에 걸어둔 사진까지 미리 전송했다.하지만 B씨는 막상 돈을 송금받자 “사업자 계좌이고 최근에 개설해 개인 거래가 확인돼야 한다”며 재입금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A씨는 이미 송금한 금액은 당일에 반환될 거라는 이야기를 믿고 165만원씩 3차례에 걸쳐 총 495만원을 보냈으나 B씨는 결국 잠적했다.당근마켓 채팅 내역 [연합]문고리 거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중고 물품을 거래할 때 자주 이용되는 거래 방법이다. 현관 문고리에 제품이 담긴 쇼핑백을 걸어놓으면 구매자가 언제든지 찾아갈 수 있어 당근마켓 이용자들 사이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하지만 얼굴을 보지 않아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을 노린 사기 행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사기범들은 대체로 “아이가 자고 있어 나가기 어렵다”며 허위 주소로 직접 찾아 오게 만든 뒤 구매자가 은행 계좌로 돈을 보내면 그대로 잠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만든 지 얼마 안 된 계정을 주의해야 한다는 이용자들의 당부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당근마켓 계정을 빌려 범행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어 기존 거래 내역이나당근마켓 피해 사례 [당근마켓][헤럴드경제=김보영 기자] 중고 거래 플랫폼을 통해 이른바 ‘문고리 거래’를 하려다 금전 피해를 보는 사례가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15일 인천 미추홀경찰서에 따르면 인천에 사는 20대 A씨는 지난 5일 “당근마켓으로 거래하다가 495만원 상당의 사기 피해를 봤다”는 내용의 진정서를 경찰에 접수했다.A씨는 당근마켓에서 알게 된 B씨로부터 아이폰16 프로맥스를 구매하기로 하고 문고리 거래를 하러 약속 장소에 갔다. A씨는 “돈을 입금하면 아파트 동과 호수를 알려주고 문고리에 제품을 걸어두겠다”는 B씨 말을 듣고 그가 알려준 계좌로 165만원을 입금했다.중고 거래 치고는 상당히 큰 금액이었지만, B씨 프로필에는 ‘재거래 희망률 100%’라는 기록과 지역 인증 내역 등이 나와있어 별다른 의심은 하지 않았다. B씨는 자신의 휴대전화로 A씨와 직접 약속 장소와 시간을 잡았고 쇼핑백 안에 제품을 넣어 문고리에 걸어둔 사진까지 미리 전송했다.하지만 B씨는 막상 돈을 송금받자 “사업자 계좌이고 최근에 개설해 개인 거래가 확인돼야 한다”며 재입금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A씨는 이미 송금한 금액은 당일에 반환될 거라는 이야기를 믿고 165만원씩 3차례에 걸쳐 총 495만원을 보냈으나 B씨는 결국 잠적했다.당근마켓 채팅 내역 [연합]문고리 거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중고 물품을 거래할 때 자주 이용되는 거래 방법이다. 현관 문고리에 제품이 담긴 쇼핑백을 걸어놓으면 구매자가 언제든지 찾아갈 수 있어 당근마켓 이용자들 사이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하지만 얼굴을 보지 않아도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을 노린 사기 행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사기범들은 대체로 “아이가 자고 있어 나가기 어렵다”며 허위 주소로 직접 찾아 오게 만든 뒤 구매자가 은행 계좌로 돈을 보내면 그대로 잠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만든 지 얼마 안 된 계정을 주의해야 한다는 이용자들의 당부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당근마켓 계정을 빌려 범행에 활용하는 경우도 있어 기존 거래 내역이나 지역 인증을 완전히 믿어서는 안된다는 게 피해자들의 조언이다.A씨는 “B씨는 동네 홍보에 필요하다면서 돈을 주고 당근 계정을 빌린 것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